top of page
Green affordance Pop up Store, 2020
창동역 1번 출구 앞 고가하부는 현재는 어둡고 고립되어있는 공간이지만 남측 도로에 면한 ‘아트숍’을 재구성하여 남측 면에서 받아들이는 빛을 충분히 내부로 확장시키고 그린 리사이클링 프로그램을 통해 지속적 작동이 가능한 예술적 가치의 그린 시티 어포던스(Affordance)의 시작점으로서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여 장소를 선정하게 되었다.
창동 광장 고가하부의 ‘언더브릿지 아트숍’을 그린 월 팝업스토어로 변화시킨다. 창동역 출구와 가깝고 남측에 면한 아트숍 벽면을 주요 그린월로 구성, 인지성을 확보한다. 시민 참여를 통해 함께 만들어가는 공공디자인으로서, 집에서 사용하지 않는 화분과 그 속의 식물을 재활용하여 그린 월을 구성하는 디자인 요소로 활용한다. 자생력이 뛰어난 식물은 분류하여 남측 면에 설치하고 크기가 작은 화분은 동, 서측 면에 설치하여 디자인 요소로 활용한다. 손상된 화분은 세척, 분쇄 후 시멘트와 섞어 남측 입면을 구성하는 타일로 재생산한다. 가드닝, 플라워 아트 등의 주민 워크숍을 통해 도심 속 자연 학습장으로 활용한다. 지역주민들과 함께 만들어가는 그린월 팝업스토어로서 프로그램의 지속적 활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The lower part of the overpass in front of Exit 1 of Changdong Station is currently a dark and isolated space, but the site was selected because it was judged to be the starting point of the green city affordance of artistic value that could be continuously operated through the green recycling program.
It will transform the Underbridge Art Shop at the bottom of Changdong Square into a wall pop-up store that depicts it. The wall of the art shop, which is close to the exit of Changdong Station and faces the south, is composed of a major green wall to secure recognition. As a public design created together through citizen participation, it is used as a design element that constitutes the green wall by recycling pots that are not used at home and plants in them. Plants with excellent self-sustainability are classified and installed on the south side, and small pots are installed on the east and west sides to be used as design elements. The damaged pot is washed and pulverized, mixed with cement, and reproduced into tiles constituting the southern elevation. It is used as a nature learning center in the city through resident workshops such as gardening and flower art. As a green wall pop-up store created with local residents, the program can be continuously used.






bottom of page